목록형상관리/Git (5)
구멍가게 IT 공부방
🌱 Git 브랜치란?브랜치(branch) 는 작업 내역을 독립적으로 분리해서 개발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입니다.마치 책갈피처럼 어떤 시점에서 갈라져 나와 자유롭게 개발하고, 이후에 다시 합칠 수 있습니다.실수해도 본 브랜치(main/master)는 안전!팀 작업 시 필수적인 도구입니다.🎯 브랜치 용도 예브랜치이름용도main or master실제 서비스되는 안정된 버전feature/login로그인 기능 개발 브랜치bugfix/typo오타 수정용 브랜치release/v1.0.0릴리즈용 브랜치🧪 실전 예제: 브랜치 생성, 이동, 삭제✅ 1. 현재 브랜치 확인git branch * 표시가 현재 작업 중인 브랜치예요.✅ 2. 브랜치 생성git branch feature/login main 브랜치에서 fea..
🧠 Git이란?항목 설명정의버전 관리 시스템 (VCS, Version Control System)목적소스코드의 변경 이력을 추적하고, 협업 및 백업을 용이하게 함특징- 로컬 저장소 기반- 분산 버전 관리- 브랜치 사용 용이- 협업 최적화사용 환경명령어 기반 (CLI), 또는 GUI 툴 (GitHub Desktop, Sourcetree 등)대표 플랫폼GitHub, GitLab, Bitbucket 등🛠️ Git 기본 명령어 정리명령어 설명git init새로운 Git 저장소 생성git clone [URL]원격 저장소를 로컬로 복제git status현재 상태(추적 여부, staged 상태 등) 확인git add [파일]변경된 파일을 staging area에 추가git commit -m "메시지"staged된..
❗ 문제 상황.gitignore에 분명히 넣었는데 Git이 해당 파일을 계속 추적함:# .gitignore 내용.env그런데도 .env 파일이 여전히 git status에 나타남...🔍 원인❗ Git은 이미 추적 중인 파일은 .gitignore에 있어도 무시하지 않습니다.즉, 한 번 git add로 올렸던 적이 있다면 .gitignore만 추가해도 무시 안 돼요.✅ 해결 단계🎯 목표: .env 파일을 Git이 무시하게 만들기📌 1단계: .gitignore에 파일 또는 폴더 명시# .gitignore 파일.envnode_modules/*.log.gitignore는 프로젝트 루트(보통 .git 폴더가 있는 곳)에 있어야 함📌 2단계: Git의 추적에서 파일 제거이미 추적 중인 파일은 수동으로 제거해야..
repository 미리 생성되어있고 프로젝트를 최초로 올릴때 repository를 미리 생성해 놓고 작업 디렉토리로 이동 >> git init >> git add . >> git commit -m "first commit" >> git remote add origin .git >> git push origin master >> git id/password 입력

🧾 git init 이란?현재 디렉토리를 Git 로컬 저장소로 초기화합니다..git 폴더가 생성되어 변경 이력, 브랜치, 커밋 등이 이 안에 저장됩니다.git init📁 일반적으로 .git 디렉토리가 숨겨진 상태로 생성됨.📦 git init --bare 이란?작업 디렉토리(workspace) 없이 Git 저장소의 순수 데이터만 있는 형태로 초기화합니다.주로 중앙 저장소(Server) 용도로 사용합니다.협업 시 원격 저장소 역할을 합니다 (예: GitHub 없이 자체 Git 서버를 만들고 싶을 때).git init --bare.git 폴더는 없고, 그 자체가 .git의 구조를 그대로 가지고 있음.🔁 차이 비교 항목 git init git init --bare 용도개발자 개인 작업용중앙 서버(원..